껌 삼키면 안되는 이유 (feat. 껌씹기 효능)

 

오늘 껌 삼키면 안되는 이유와 더불어 껌씹기 효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01 껌씹기 효능

(1) 구취 제거

(2) 졸음 방지

(3) 스트레스 해소

(4) 중이염 완화

02 껌 삼키면 안되는 이유

03 껌 씹을 때 주의점

 

 

껌은 씹고 나서 뱉어야 하는 기호 식품으로 치클나무 수액을 적절히 가공하게 되면 부정형의 탄성을 갖는 고체가 되는데 이를 고무, 검이라고 합니다. 이는 중앙아메리카 원주민이 치클을 씹는 것을 즐기던 것을 보고 간식으로 즐길 수 있게 감미료와 향료를 넣어 만들어 껌이 된 것입니다. 이러한 껌은 단물만 쏙 빼먹고 뱉어야 하며, 사실은 설탕물이기 때문에 치아 건강에 좋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요즘에는 어딜가나 무설탕 껌이 있게 때문에 건강하게 껍을 섬취할 수 있으며 껌 자체가 지닌 흡착력과 향 때문에 미세하게 양치 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껌은 30분에서 1시간정도 적당히 씹게 되면 턱 관절과 잇몸 건강에 좋을 수 있지만, 오래 씹게 되면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01 껌씹기 효능

 

(1) 구취 제거

 

껌씹기 효능 첫 번째는 '구취 제거'입니다. 껌은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양치를 대신하여 구취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며, 씹는 동안에 입 안에 침이 고이게 되어 일시적으로 갈증을 해소해줍니다. 이로 인해 약간의 긴장을 푸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2) 졸음 방지

 

껌씹기 효능 두 번째는 '졸음 방지'입니다. 운전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졸음 방지 방법 중 하나가 껌을 씹는 것인데요. 운전을 하는 중에 졸음이 쏟아질 때 코까지 시원한 민트향의 껌을 씹게 되면 조금이나마 졸음이 달아나기 때문에 졸음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스트레스 해소

 

껌씹기 효능 세 번째는 '스트레스 해소'입니다. 껌을 씹으면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인 코르티솔의 분비가 감소한다고 합니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이 수그러지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해소의 효과가 있습니다.

 

(4) 중이염 완화

 

껌씹기 효능 네 번째는 '중이염 완화'입니다. 껌씹기는 중이염에 걸렸을 때 도움을 주는데요. 보통 감기로 걸린 중이염은 귓속 압력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중이염에 걸렸을 때에는 통증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껌을 씹게 되면 씹는 행위로 인해 압력을 조절해주기 때문에 껌을 씹어주면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귀가 멍멍해질 때 역시 껌을 씹어주면 좋습니다. 

 

 

02 껌 삼키면 안되는 이유

 

 

 

껌을 삼키게 되면 위장에 들러붙어 소화가 되지 않고 남아있다는 괴담이 있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인체는 껌을 소화시킬 수 없다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계속 위에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껌을 삼켜도 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경우 목구멍이 작기 때문에 껌을 삼키다가 목구멍에 걸려 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든 껌을 삼키는 것을 조심할 수 있도록 잘 알려주어야 합니다. 

 

03 껌 씹을 때 주의점

 

껌을 씹을 때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식품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초콜릿'인데요. 그러고보니 초콜릿 맛이 나는 껌은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초콜릿과 껌을 함께 섭취하게 된다면 초콜릿의 지방성분에 의해 껌의 주된 성분인 수지가 녹게 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성분을 섭취하게 되므로 함께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양치질 대신 껌을 씹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아무리 자일리톨이 함유된 껌이더라도 양치질 후 보조용으로 씹어야 효과가 있고 아예 양치질을 대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상 껌 삼키면 안되는 이유와 껌씹기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