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급증하고 있는 당뇨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은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예방 원칙을 숙지하여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와 같은 목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증상
3) 당뇨병 예방 원칙
4)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이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어서 이름 붙여진 병인 당뇨병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이 없는 정상인의 경우 혈당이 잘 조절되어 소변으로 당이 넘쳐나지 않을 정도인데요.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슐린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해 모자라거나 하는 상태가 되면 혈당이 상승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가 되면 그것을 당뇨병이라 칭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당뇨병이 급증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당뇨병 증상
당뇨병의 증상은 총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쉽게 피로해집니다.
당뇨병에 걸리게 되면 포도당이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탈수 상태가 되기 떄문에 쉽게 해로해지고 기운이 없어집니다.
두 번째, 갈증을 느끼게 되어 물을 많이 마시게 되고, 피부가 건조해 집니다.
소변의 양이 늘어나면서 체내 수분이 부족해짐으로 인해 심한 갈증을 느끼게 됩니다. 하루에 몇 리터식 물을 마시게 되며, 피부가 건조해집니다.
세 번째, 식욕이 증진 됩니다.
단맛을 잘 느끼지 못하게 되어 단 음식을 찾게 되어 많이 먹게 되지만 체중이 빠지며, 체내 대사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많이 먹어도 에너지가 부족함을 느끼게 되어 식욕이 증진하게 됩니다.
네 번째, 소변에 거품이 생깁니다.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면서 소변에 거품이 생기며 냄새를 동반하고, 소변의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다섯 번째, 상처가 잘 낫지 않습니다.
단백질 합성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상처가 쉽게 아물지 않으며,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종기나 습진 등 감염성 질환에 노출이 되며 염증도 쉽게 생기게 됩니다.
당뇨 예방 원칙 8가지
첫 번째, 규칙적으로 식사를 해야 합니다.
식사를 거르면 과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당 수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식사량과 시간을 정해두고 세끼를 골고루 나누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단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단 음식은 혈당치를 급격하게 올리게 되어 이것이 반복되면 당뇨병으로 이어지게 합니다. 음식을 먹고 30분 뒤 혈중 포도 당량을 나타낸 수치를 '혈당지수'라고 하는데,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음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기름 섭취를 줄입니다.
굽거나 찌는 조리법을 사용하여 기름을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을 넣어야 할 때는 계량스푼으로 필요한 만큼만 넣습니다.
네 번째, 과식하지 않습니다.
과식은 비만을 부르고, 비만은 당뇨병으로 이어집니다. 과식하면 혈당치가 갑자기 높아지기 때문에 췌장에 무리가 갑니다.
다섯 번째, 골고루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에 이미 걸렸다면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당뇨병의 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탄수화물과 지방은 필수 영양소이므로 필요한 만큼 먹어야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여섯 번째, 싱겁게 먹어야 합니다.
음식이 짜면 밥을 많이 먹게 되어 혈당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소금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며 혈압이 높은 사람은 당뇨병에 걸리기가 쉽습니다.
일곱 번째, 인스턴트식품은 멀리해야 합니다.
인스턴트 식품은 염분이 많고 칼로리가 높아 비만의 원인이 됩니다. 비만인 사람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은 정상인보다 3~5배나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여덟 번째, 채소, 버섯, 해조류를 많이 먹어야 합니다.
이들 식품은 칼로리가 낮으면서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특히 식이섬유는 포도당이 흡수되지 않고 배변으로 빠져나가게 해 혈당치가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신체 다양한 곳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눈 : 당뇨병을 20년 동안 앓게 되면 약 30~50% 정도에서 당뇨병성 망막증이 발생합니다.
- 피부: 당뇨병 환자의 30%는 가려움증과 무좀 같은 피부 감염에 시달립니다.
- 소화장애 : 당뇨병 환자는 복통과 변비, 구토, 구역, 설사 등의 소화기 장애를 경험합니다.
- 간 : 간경변 환자의 30~40%가 당뇨병 환자입니다.
- 콩팥 : 당뇨병성 콩팥증은 제1형 당뇨병 환자의 20~40%에서 발생하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0~20%에서 발생합니다.
- 혈관 : 협심증, 심근경색, 뇌중풍 같은 혈관 합병증으로 인해 당뇨병 환지의 60~70%가 사망합니다.
- 신경 : 당뇨병 환자의 70%는 상, 하지의 말초신경부위 (주로 발가락, 손가락)에 감각이 둔해지고, 저리는 현상, 통증이 생기는 당뇨병성 신경 합병증을 앓는다고 합니다.
- 성기능 장애 : 자율 신경 실조로 성기능 장애가 발생합니다.
- 발 궤양 : 당뇨병 환자의 15%가 발 궤양으로 고생을 하며, 절단을 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증세를 경험합니다.
이상 당뇨 증상 및 예방 원칙,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로띠스마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및 치료 방법 (0) | 2020.10.10 |
---|---|
당뇨에 좋은 음식 (0) | 2020.10.10 |
코로나19 극복! 면역력 높이는 방법 (0) | 2020.10.04 |
여성질환 자궁 근종 원인 증상 및 치료 (0) | 2020.10.02 |
가을 제철 밤 효능 및 칼로리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