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태풍 대비 요령 행동 주의 사항 안전수칙 5가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태풍 예보시 TV, 라디오, 스마트폰 등에서 태풍이 예보된 때에는 거주 지역에 영향을 주는 시기를 미리 파악하여 이웃과 공유하고, 어떻게 대피할지 생각하고 가족이나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 생각
1)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어떻게 할지 준비한다.
2)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안전디딤돌)을 통해 재난정보를 파악하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한다.
2.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
1)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한다.
2)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3) 가족과 함께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는다.
4)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5) 시설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한다.
6) 선박이나 어망/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7)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한다.
3.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
1)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2)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 건물 등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4.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 확인
1)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준다.
2)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한다.
5.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1)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둔다.
2)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둔다.
3)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양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둔다.
4)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의 연락처를 확인한다.
★ 주요기관 연락처 신고전화
- 재난신고 119
- 범죄신고 112
- 민원 상담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205-1542~3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한다.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고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확인한다.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는다.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는다.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는다.
이상 태풍 대비 요령 행동 주의 사항 안전수칙 5가지에 대한 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침수차 구별법 구분하는 방법 중고차 매물 구매 구입 주의 사항
오늘은 침수차 구별법 구분하는 방법 중고차 매물 구매 구입 주의 사항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연재해가 매년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다. 자연재해는 인명 피해는 물론, 재산 피
lotisma.tistory.com